묭쓰네 마음놀이터

⑵ 버림받는 두려움에 대한 정신 치료적 접근

두려움과 상호관계는 반비례 - 버림받는 것에 대한 두려움 감소한다면, 부모-자녀는 좋은 관계 나아감.

1) 자녀의 심리치료 목표 - 인지왜곡을 바로 잡아야 함

ⓐ 엄마-아빠는 서로를 버렸지만(갈라섰지만) 자녀는 버리지 않았음을 알게하는 것.

ⓑ 자녀는 여전히 두 부모가 있다는 것을 알게 함.

ⓒ  한쪽의 부모(살고 있는 부모)가 일이 생기면 다른 부모와 살 수 있음

ⓓ 부모들은 양쪽 부모가 모두 돌봐 줄 수 없을 때 친구/친척이 자녀를 돌 봐 줄 수 있다는 사실을 논의해야 함. ☞ 부모가 죽거나 자식을 돌볼 능력이 되지 않는다면 자녀에게 자녀를 돌봐 줄 사람에 대한 정보를 제시하는 것이 필요

2)임상 사례

ⓐ 방임적이고 부부싸움을 자주 하는 부모를 둔 소녀

 

 

자녀입장 - 제한적인 적응상태

치료사 개입

가족 - 친모-계부 싸움에 전념함. 
방임에 노출  도움받을 수 있는 부모 갈망
위험 발생 ▷ 스스로 헤쳐나옴(자기 효능감 가짐)자녀가 부모의 갈등을 해결하고자 자녀가 노력 ▷ 효과가 없었음.

자녀의 건강한 측면 강조
상황 : 부모가 자녀의 치료에 대한 동기가 낮음
대안 제시 : 친구에게 의지 및 적응적 관계를 만들기

 

ⓑ숲속에서 길을 잃은 소년

객관적 상황 자녀입장 - 부모들에게 버림받은 관점 치료사 개입
친모 - 자녀에게 헌신적, 생계를 위해 밖에서 하루종일 업무
친부 - 정신적 문제있음 그러나 자녀에게 관심 있음. 
자녀 인식 사항 : 강하게 방임하였다 여김
버림으로부터 자신을 보호
부모와 재회하기 위해 자신의 자원 사용 및 의지함
부모가 자녀의 독립성을 인정
부모메시지 반복
자녀의 건강한 자기주장 강화
완전한 방임 아님을 지적
때로는 부모 의존 + 자기지신 의지

 

ⓒ 가학적인 살인마와 잠만 자고 있는 어머니

자녀의 관점/ 객관적인 상황

치료사 개입
친부- 괴물 / 가학적인 살인마로 인식
친모- 친부로부터 안전을 책임저주지 못하는 방임적인 태도
부모에 대한 애정 고갈됨 - 부모 양육 실패로 간주

친부 이사 - 친부 관점은 그대로 
친모에게 도움은 적극적으로 요청하면 상황이 변할 수 있음을 인식

 

이 글을 공유합시다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