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려움과 상호관계는 반비례 - 버림받는 것에 대한 두려움 감소한다면, 부모-자녀는 좋은 관계 나아감.
ⓐ 엄마-아빠는 서로를 버렸지만(갈라섰지만) 자녀는 버리지 않았음을 알게하는 것.
ⓑ 자녀는 여전히 두 부모가 있다는 것을 알게 함.
ⓒ 한쪽의 부모(살고 있는 부모)가 일이 생기면 다른 부모와 살 수 있음
ⓓ 부모들은 양쪽 부모가 모두 돌봐 줄 수 없을 때 친구/친척이 자녀를 돌 봐 줄 수 있다는 사실을 논의해야 함. ☞ 부모가 죽거나 자식을 돌볼 능력이 되지 않는다면 자녀에게 자녀를 돌봐 줄 사람에 대한 정보를 제시하는 것이 필요
자녀입장 - 제한적인 적응상태 |
치료사 개입 |
가족 - 친모-계부 싸움에 전념함. |
자녀의 건강한 측면 강조 상황 : 부모가 자녀의 치료에 대한 동기가 낮음 대안 제시 : 친구에게 의지 및 적응적 관계를 만들기 |
객관적 상황 | 자녀입장 - 부모들에게 버림받은 관점 | 치료사 개입 |
친모 - 자녀에게 헌신적, 생계를 위해 밖에서 하루종일 업무 친부 - 정신적 문제있음 그러나 자녀에게 관심 있음. |
자녀 인식 사항 : 강하게 방임하였다 여김 버림으로부터 자신을 보호 부모와 재회하기 위해 자신의 자원 사용 및 의지함 부모가 자녀의 독립성을 인정 |
부모메시지 반복 자녀의 건강한 자기주장 강화 완전한 방임 아님을 지적 때로는 부모 의존 + 자기지신 의지 |
자녀의 관점/ 객관적인 상황 |
치료사 개입 |
친부- 괴물 / 가학적인 살인마로 인식 친모- 친부로부터 안전을 책임저주지 못하는 방임적인 태도 부모에 대한 애정 고갈됨 - 부모 양육 실패로 간주 |
친부 이사 - 친부 관점은 그대로 친모에게 도움은 적극적으로 요청하면 상황이 변할 수 있음을 인식 |
[책요약] 이혼가정 자녀를 위한 심리치료6 - (4)가출 (0) | 2021.03.07 |
---|---|
[책] 이혼가정 자녀를 위한 심리치료 6 - (3) 버림받음 (0) | 2021.03.03 |
[책] 이혼가정 자녀를 위한 심리치료6 - ⑴ 버림받는 것에 대한 두려움 (0) | 2021.02.21 |
[책] 이혼가정 자녀를 위한 심리치료 5 - 애도와 우울 (0) | 2021.02.15 |
[책요약] 이혼가정 자녀를 위한 심리치료 4 - 방어기제 中 부인(Denial) (0) | 2021.0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