묭쓰네 마음놀이터

카테고리

더보기
  1. 자녀의 부인 방어기제 발달에 기여한 부모 요인
  2. 자녀에게 나타난 부인 방어기제의 공통 특성
  3. 병적인 부인에 대한 치료적 접근

부인이란? 원시적인 방어기제의 일부. 정신적 외상을 의식적으로 자각하지 않음으로써 자신을 보호하려 하는 심리적으로 는 눈을 감은 상태

1. 자녀의 부인 방어기제 발달에 기여한 부모 요인

:  성격,  부모-자녀 상호작용 여부, 자녀를 다루는 태도

  • 자녀들 앞에서 전혀 안 다투는 부모 → 자녀들에게 분노 감정에 대한 부적절한 억압과 억제를 가르침.

 ☞ 자녀 - 방어기제 '부인' 사용, 인지/ 정서적 반응 저하, 분노 반응 억압 

 

  • 침묵하고 의사소통을 안하는 부모(특징 : 중요한 문제만 의사소통하며 감정을 자제함. ) → 자녀에게 억압과 억제의 모델을 보임 / 이혼할 때 이혼에 대한 과정 설명(의사소통) 없이 정서적 반응 보이지 않음

☞ 자녀 - 방어기제 '부인' 사용

 

  • "자녀는 어려서 상황을 이해 할 수 없다."며 변명하며 이혼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 부모(합리화/ 수치심/ 죄책감)

☞ 자녀 - 방어기제 '부인' 사용

 

방어기제 '부인'의 발동

- 부모 - 이혼을 했지만 이혼 하지 않은 것처럼 행동. 생활의 변화가 생겼지만 똑같이 행동함. 이혼은 인정하나 자녀들에게 이혼의 영향을 끼친 것은 부인

☞ 자녀 - 방어기제 '부인' 사용, 그와 같은 상황에 아무렇지 않아 함. 

 

- 부모 - 자녀들에게 이혼에 대한 정서적 정서반응을 억압하도록 적극 권유 ☞ 자녀 - 방어기제 '부인' 사용, 정서 표현 억압

 

- 남은 부모 - 떠난 부모를 전혀 존재하지 않는 사람으로 취급 → 자녀가 떠난 부모에 대한 감정을 표현할 기회 박탈, 떠난 부모에 대한 추억 없앰

☞ 자녀 - 방어기제 '부인' 사용

 

2. 자녀에게 나타난 방어기제 '부인'의 공통 특성 :

이혼 후, 남아있는 부모가 떠난 부모가 더 이상 오지 않는다고 반복적으로 설명했음에도 불구하고.... 

① 자녀가 사실을 받아들이지 않음 

☞ 떠난 부모가 되돌아 올 것이라고 상상

  • "아빠는 출장갔어."
  • "아빠는 내가 잘 때 오셨다가 내가 일어나기 전에 회사에 가."
  • "엄마는 곧 올 거야."

 

② 환상이나 놀이에 떠난 부모를 등장시키고 게임에도 부모를 등장시켜 자신이 그 역할을 함

☞ 떠난 부모의 역할을 흉내 냄으로써 떠난 부모와의 만남을 희망함

  • 떠난 부모를 죽었다고 나타냄
  • 떠난 부모의 억양 몸짓, 성격 특성, 심지어 의견까지 흉내 낼 수 있음

 

③ 또 다른 사람이나 애완동물에 대해 지나친 관심

☞  자녀는 떠난 부모의 '안녕(잘 지냄)'에 대한 관심을 다른 대상에 대치시키는 것 / 떠난 부모에 대해 분노는 있으나 분노 표현에 대해 죄책감과 두려움을 가짐

  • 강박적으로 햄스터에 관심
  • 자기 자신에 대해서는 얘기하지 않고 친구나 친척들의 사소한 질병에 대해 지나치게 관심
  • 계속적으로 남아있는 부모에 대해 관심

 

④ 2~4세 자녀라면 떠난 부모를 상상 친구로 만들어 실제로 있는 것처럼 자주 상상

  • 보이지 않는 부모를 옆에 있는 것처럼 얘기 
  • 보이지 않는 부모와('상상 부모')와 게임을 같이 함
  • 떠난 부모가 이전에 앉았던 의자에 누군가 앉으면 적개심 표현

 

⑤ 떠난 부모에 대한 결점을 부인. 완벽한 부모

☞ 이상화 발달

  • 떠난 부모가 여전히 자녀를 사랑한다고 주장
더보기

부모에게 조언 ;

떠난 부모를 사랑하지 않더라도 다른 사람들로부터 사랑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게 함. 

3. 병적인 부인에 대한 치료적 접근

① 건강한 방어기제로 작용

일반적으로 모든 심리적 외상에 정신적 반응을 할 경우에는 제정신을 차릴 수 없음 ☞ 적당한 방어기제(부인 포함)는 우리의 건강한 상태를 도움.

  • 불치의 병에 걸려 죽어가는 경우, 방어기제 제거는 비인간적임

 

② 부적응적인 방어기제로 역할

대부분의 이혼 가정의 자녀가 사용하는 방어기제(부인)를 사용

☞ 심리적인 고통 감소, 계속적인 방어기제 '부인'을 사용하면 부모의 별거/이혼에 대한 건강한 적응을 방해하거나 저해시킴

  • 부인 기제에 관한 이야기책을 자녀들에게 읽히도록 조언

 ▶ 자녀들은 자신들을 나타내 주는 제삼자/동물/ 다른 상징물들을 접한 후, 그들의 어려운 점에 더 쉽게 논의

 

  • 부모 참여 격려
더보기

주요 문제에 대한 글쓴이의 일반적인 접근

  1. 과거력을 통해 문제가 무엇인지 요약
  2. 관련된 문제에 대해 부모와 자녀와 함께 대화하고 꿈과 이야기로 분석
  3. 주요한 문제에 대해서 직접적인 치료적 의사소통(정서적인 위안 / 해결책을 모색) 


이 글은 <이혼가정을 자녀를 위한 심리치료(양서원/Richard A. Gardner 지음)>책을 참고, 발췌하였습니다.

이글도 읽어보세요★

이혼가정 자녀를 위한 심리치료. 도입

 

이혼가정 자녀를 위한 심리치료. 도입

"이혼하는 당사자뿐만 아니라 그 자녀들의 심리사회적 손상이 상당히 크다" (역자 서문에서 발췌) "아동을 치료할 때 부모들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일하곤 한다. 아동들의 정신병리는 근본적으

mindplayground.tistory.com

[책요약] 이혼가정 자녀를 위한 심리치료 1 - 자녀를 위한 조언

 

[책요약] 이혼가정 자녀를 위한 심리치료 1 - 자녀를 위한 조언

Chapter 1 별거/이혼 중인 부모들에게 자녀들을 위한 조언 이혼을 고려 중인 부모 치료자가 재결합/이혼을 하는 것 중 어떤 것이 좋은지 예측하는 것은 불가능함. 이런 질문에 대해서 엄격하고 중

mindplayground.tistory.com

[책요약] 이혼가정 자녀를 위한 심리치료2 - 치료 여부

 

[책요약] 이혼가정 자녀를 위한 심리치료2 - 치료 여부

Chater 2 치료 여부를 결정하는 데 있어서 고려할 사항 카테고리 더보기 1. 이혼 → 자녀의 정신병리적 반응?! 2. 치료 추천 기준 3. 치료가 필요하지 않은 기준 1. 부모의 이혼 → 자녀의 정신병리적

mindplayground.tistory.com

 

이 글을 공유합시다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