묭쓰네 마음놀이터

1. 버림받는 것에 대한 두려움

 

① 자녀의 심리

안정된 가정의 자녀 → 가정해체에 대한 걱정이 별로 없음

이혼가정의 자녀 → 가정해체 민감

부모의 별거와 이혼

☞ 모든 인간관계에서 불안정성 초래된다면.. 궁극적으로 아무도 믿을 수 없음. 불안감의 기저가 됨.

 

② 자녀의 증상

 ㅁ 증상 1 : 버려짐을 느끼게 되는 계기가 됨.

별거 이전 부모⒫  - 다툼 법적사항 전념, 자녀들에게 정서적 관심 낮음, 

 자녀⒞ - 이미 버려졌다고 느낌

 

부모⒫ 가 집을 떠날 때 자녀 ⒞ 거부당함을 강력하게 느낌

 

 ㅁ 증상 2: 공황장애 증세

함께 남아있는 한부모 - 새로운 의무감 (양육/생계), 의무감으로 인해 자녀와 함께 지내는 시간이 줄어들음

⒞ 공황장애 증세(식은땀, 가슴 뜀, 흥분, 호흡곤란, 보살펴 줄 보호자가 없음으로 인한 두려움),

[ 분노의 억압(불안)+두려움 혼합]으로 인한 부모에게 느끼는 죄책감/ 우울로 진화

∴ 해결방법 : ① 위로를 해 주고 버려졌다는 느낌을 가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필요.

② 부모에게 향하는 적대감에 대한 죄책감을 덜 느끼도록 도와주는 것이 필요

 

ㅁ 증상3 :지나친 집착 ; 분리 불안 ☞ 학교공포증 부모에게만 매달림으로서 그의 무서운 바람이 실현되지 않을 것이라고 안심

 

ㅁ 증상4 자녀의 아부 

양쪽 부모로부터 환상을 사려고 함.

(예) 아빠에게 엄마의 흉과 아빠의 치켜세움, 엄마에게 아빠의 흉과 엄마의 치켜세움을 함

☞ 양쪽 부모로부터 잘보여 애정을 얻고 부모로부터 버림/거부를 막기 위해

∴ 해결방법 : ① 부모가 결국 자녀들이 '아부하는 것'을 알게 되며, 이렇게 부모가 '아부하는 것'을 알게 되면 더 거부당했다는 느낌을 받게  될 것이라고 알게 도와줌

② 어느 누구도 거짓말을 좋아하지 않는다는 것을 인식하게 도와줌

 

증상5 부모로부터 처벌(or 학대)을 유발함 

자녀는고통 받음으로써 여전히 부모의 존재(함께 있음)를 확인.

부모의 이혼에 대해 자녀들이 느끼는 적대감을 분출시키는 수단으로 부모에 대한 분노를 느끼는 것에 죄책감을 느낌

죄책감을 감소키기기 위해 처벌받는 행동을 하며 처벌을 받음으로써 죄책감을 감소하기 위한 장치.

 

 

이 글은 <이혼가정을 자녀를 위한 심리치료(양서원/Richard A. Gardner 지음)>책을 참고, 발췌하였습니다.

이 글을 공유합시다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