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 속도보다 방향이다.
우리가 사는 세상은 치열하며 예고가 없다.
분명히 어딘가로 가야 하는데 어디로 가야 옳은지, 어딘가로 가는 것 같은데 무엇을 향해 가고 있는지, 지금 나아가고 있는 것인지 아니면 제자리에서 뱅뱅 돌고 있는 것인지 당사자인 자신조차도 확신에 서지 않는다.
막막하고 답답하다.
주위를 둘러봐도 진정한 내 편이 없다.
안타깝지만 이것이 현실이다.
세상에 두려움이 갖는 것은 당연하다.
날마다 익숙한 듯 살지만 모두 '지금'은 처음 사는 것이다.
되돌려 살 수도 없고 지우고 다시 시작할 수도 없다.
매우 불합리한 조건이지만 한편으로는 누구에게나 공평해서 다행이다.
하지만 지향점이 어느 날 불쑥 찾아지는 것은 아니다.
갑자기 정한다고 해서 지향점이 되는 것도 아니다.
지향점을 찾기 위해 다양한 가치들을 타진해 보자.
이를 기회로 자기 삶을 넓은 관점에서 바라보는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넓은 시야를 가지면 더 큰 가능성을 볼 수 있고 자기의 삶에서 무엇이 더 중요한지, 어느 부분을 강화해야 하는지 알 수 있다.
해야 할 일과 하지 말아야 할 일이 구분된다.
그로 인해 지향점을 향해 가는 과정에서 자기 가치를 상승시키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자신에게 끊임없이 질문하고 그 답을 고민하며 자기 삶의 방향을 찾아보자.
1. 나는 무엇을 할 때 행복한가
2. 내 전 재산을 털어 무엇과 바꿀 수 있는가?
3. 무엇이 나를 성장시킬 수 있을까?
4. 내가 태어난 이유는 무엇일까?
5. 내가 죽기 전에 해야만 하는 일은 무엇일까?
6. 나는 무엇에 분노를 느끼는가?
7. 사회에서 내 작은 힘을 보태 어떤 효과를 거두고 싶은가?
이런 식으로 자기에게 질문을 하다 보면 자신이 추구하는 가치와 맥이 통하는 욕구를 찾을 수 있다.
철학이라면 심오하게 들리지만 일반적인 사고도 개인의 관점에서는 철학이라고 할 수 있다.
그 철학은 곧 자기의 심지기 된다.
자기가 살아가는 방식인데 누가 뭐라고 할 사람도 없다.
자기만의 방식이고 살아가는 방향이면 된다.
단서가 붙는다면 절대적으로 남에게 피해를 주지 않아야 한다는 것이다.
'지금 헤어지는 중입니다'라는 드라마를 보았다.
그 드라마를 유튜브로 봤기에 부분 부분을 엮은 걸 보니 사랑하는 사람과의 이별을 다루고 있었다.
사랑하는 사람은 과거의 다시 못 볼 연인, 지금의 연인, 남편, 자녀, 주변 지인이 모두 해당한다.
그중 병원에서 말기 암 판정을 받고 시한부였던 '미숙'
아이를 위해 독하게 마음을 먹고 아직 덜 자란 아이한테 스타킹을 혼자 신으라고 혼내는 장면.
아이가 매일매일 머리 감는 걸 확인해 줄 수 있냐는 장면에 정적이 흐르며 엄마는 대답을 못하는 장면.
망가진 몸으로 입원해야 하지만 아픈 모습을 안 보여주고 싶어 퇴원을 한 엄마.
그리고 찾아간 곳은 아이의 놀이터.
이별을 준비하는 과정, 그 사람이 없다는 공백에서 살아갈 그 아이. 그리고 이제는 나.
그 순간순간 나는 눈시울이 붉어졌다.
소중한 사람과의 이별은 받아들이기 어렵고 이별을 받아들이는데 오랜 시간이 걸린다.
남아있는 시간이 무한한 건 아니다.
내게 의미 있는 부모님, 주변 사람들과의 만남을 얼마나 지속할 수 있을까?
1년? 2년? 20년? 잘 모르겠다.
1~2개월 후부터 병원에서 호스피스 아동을 만난다.
나와 시간을 보내는 아동의 죽음을 맞이할 수 있는 가능성이 크다.
죽음을 준비하는 그들의 부모님의 무너짐도 함께 동행해야겠지.
나는 어떻게 받아들일까 아직 상상할 수 없다.
그렇지만 산 사람과의 헤어짐을 겪었던 과거를 돌이켜본다면 나는 많은 무너짐이 겪을 거 같다.
- 머리로 앞서서 미리 판단하지 말고 흐름에 나를 맡기기.
- 무섭고 두려운 마음에 경험할 수 있는 기회가 왔을 때 주춤하더라도 충분히 만끽하기.
- 나의 옹고집인지 누군가의 평가가 많이 반복이 되면 다시 달라졌을 때의 이점을 생각해보기.
- 이성과 밥 먹을 때 최대한 기분 좋게 먹기. 우선 먹어보면서 체하더라도 더 이상 피하지 않기.
- 누군가의 잣대와 나의 잣대가 다름을 인정하고 그 잣대로 나를 평가절하하지 않기. 반대로 내가 누군가를 평가절하하지 않기.
- 이번 년도 목표로 한다고 했으면 착실히, 꾸준하게.
- 더불어 살아가는 사회지만 내가 주인공. 공동의 질서를 지키며 입장을 존중하되 자기주장은 확실하게.
[책] 인간의 마음을 이해하는 수업 - 신고은 C.1 (0) | 2022.03.06 |
---|---|
[책] 인간의 마음을 이해하는 수업-신고은 C.3 (0) | 2022.03.03 |
[책] 퍼스널 리셋 1-3 내 인생의 주인공으로 살고 있는가? (0) | 2022.01.14 |
[책] 퍼스널 리셋 1-2 나를 믿는 마음이 삶을 지탱한다 (0) | 2022.01.09 |
[책] 퍼스널 리셋 1-1 나는 누구인가 (0) | 2022.01.03 |